• HOME
  • 콘텐츠
  • 컬쳐&라이프
  • K의 시대

K의 시대

보기설정
  • 격변의 시대
    8.
    격변의 시대 선택됨
    • 2023.09.21
    • 7분
    • 551
    • 13
    • 24
    • 0
    • N
    해방 후, 특히 한국전쟁 직후 한국 대중문화는 큰 변화에 직면했다. 댄스홀과 춤바람, 자유부인은 왜 가난했던 전후시대의 유행이 되었을까?
  • K-신파, 그것이 궁금하다 weekly
    7.
    K-신파, 그것이 궁금하다 선택됨
    • 2023.08.17
    • 8분
    • 717
    • 18
    • 29
    • 0
    • N
    한국의 영상 콘텐츠들이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이유 중에 '신파성'의 매력이 있다. 한국적인 신파는 어디서부터 시작된 것일까?
  • 애마부인과 해태 타이거즈 monthly
    6.
    애마부인과 해태 타이거즈 선택됨
    • 2023.07.20
    • 7분
    • 1,077
    • 23
    • 33
    • 0
    • N
    정치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방지하기 위해 대중문화 활성화를 도모했던 1980년대, 애마부인과 해태 타이거즈는 우리가 숨 쉬는 사회적 공기를 어떻게 바꿔 놓았을까?
  • 1992년, 무슨 일이 있었나? monthly
    5.
    1992년, 무슨 일이 있었나? 선택됨
    • 2023.06.22
    • 7분
    • 967
    • 22
    • 28
    • 0
    • N
    1992년 대중가요 시장의 상황은 늘 반복되는 유행의 주기로 해석되지 않는 '무언가'가 있었다. 그 해 한국 대중문화사에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?
  • 한류를 둘러싼 동상이몽
    4.
    한류를 둘러싼 동상이몽 선택됨
    • 2023.05.25
    • 7분
    • 832
    • 21
    • 29
    • 0
    • N
    단군사상, 풍류, 삼재사상에 이르기까지 한류의 기원을 두고 다양하게 엇갈리는 연구자들의 주장들. 대중문화 공화국을 살아가는 여러분의 생각은?
  • 한류는 이미 예고되었다
    3.
    한류는 이미 예고되었다 선택됨
    • 2023.04.27
    • 7분
    • 1,059
    • 22
    • 33
    • 0
    • N
    큰 주목을 받은 문화적 사건이 갑자기 나타나지는 않는다. 그렇다면 한류가 출현하는 데 직접적인 동력이 된 계기는 무엇일까?